subvisual
· AI금융전공

AI금융전공의 교육목표는 전통적인 경제학 방법론과 AI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금융시장 관련 주제를 분석할 수 있는 인재양성에 있다. 금융시장 관련(투자전략, 자산배분, 위험관리 등), 금융정책 관련(빅데이터를 활용한 통화정책 전달경로 개발, 통화정책 효과 극대화를 위한 경제 감성 활용 등), 금융감독 관련(위기 조기 경보 및 선제적인 정책 개발 등) 주제를 공부한다. 전통적인 시계열 방법론 외에, 자연어의 임베딩 구현 및 활용, 경제변수의 딥러닝 레이어 구축 및 정책 활용, 네트워크모형(geometric deep learning)을 활용하여 금융시장 분석, 금융정책 전달경로 및 위기경로 등을 구현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한다.

이수과목

학점

기초필수과목

AI금융을 위한 경제학 기초,
AI금융, 경제시계열분석

9학점

전공 선택과목

18학점

총 이수 학점

27학점 이상


□ 커리큘럼
1. 본 학과 교과과목 중에서 27학점 이상 취득하여야 한다.
2. 석사학위 과정의 필수과목은 다음과 같다.
     AI금융을 위한 경제학 기초, AI금융, 경제시계열분석

□ 자격시험
석사학위과정 종합시험에 합격하여야 한다. 석사학위 종합시험은 AI금융을 위한 경제학 기초와 AI금융 2과목에 대하여 시행한다. (단, 과목 수강 시 B+이상의 학점을 받으면 면제됨)

□ 논문
석사학위 논문을 작성하여 심사위원회의 심사에 통과하거나, 다음의 논문대체요건을 만족하여야 한다.

□ 논문대체요건
1. 석사학위 논문대체 실적은 다음 중 하나여야 한다.
   ①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 이상의 학술지에 논문 게재. 단, 주저자 혹은 교신저자여야 함.
   ② 학술보고서 제출. 단 계획서를 미리 제출하여 지도교수 및 학과장의 승인을 받아야 함.
2. 제출된 석사학위 논문대체 실적은 학과장이 추천한 3인 이상의 심사위원으로 구성된 심사위원회의 심의를 거친다.
3. 그 외의 사항은 대학원 학칙에 따른다.


AI 금융 전공 FAQ
Q: AI금융 전공 소개에 대해 부탁드립니다.
AI금융 교육목표는 AI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금융시장 관련 주제를 분석할 수 있는 인재양성에 있습니다. 금융시장 관련 투자전략, 자산배분, 위험관리 등), 금융정책 관련 빅데이터를 활용한 통화정책 전달경로 개발, 통화정책 효과 극대화를 위한 경제 감성 활용 등), 금융감독 관련 위기 조기 경보 및 선제적인 정책 개발 등) 주제를 다루게 됩니다.

Q: 입학전에 뭘 공부하고 오면 좋을까요?
필수: 거시경제 기초, 파이썬 기초(numpy , pandas, subclassing), 통계학/계량경제학 기초
권장: 선형대수학 기초개념, 계량(시계열)

Q: 전공 연구 분야는 주로 어떻게 되나요?
전통적인 시계열 방법론을 보완할 수 있는 자연어의 임베딩 구현 및 활용, 경제 변수의 딥러닝 레이어 구축 및 정책 활용, 네트워크모형 (geometric deep을 활용하여 금융시장 분석, 금융정책 전달경로 및 위기경로 등의 주제를 공부할 수 있습니다.
키워드로 요약하면: ESG index, Financial Factor Model, Financial Graph Neural Network, Financial Market Sentiment, Financial Natural Language Processing, Geometric Deep Learning, Strategic Asset Allocation
AIFinLab 을 보시면 현재 진행중인 연구주제를 보실 수 있습니다.
Q: AI금융 커리큘럼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요?
AI금융은 본 학과 교과과목 중에서 27학점 이상 취득하여야 합니다.
필수과목은 AI금융을 위한 경제학 기초, AI금융, 경제시계열분석입니다.
권장과목은 딥러닝 네트워크를 활용한 금융시장 분석 등이 있습니다.

Q: 권장되는 과목 이수는 어떻게 되나요?


Q: 연구 공간이 따로 제공되나요?
- 학기 초 자리배정을 통해 (대학원생)연구실이 배정됩니다.

Q: 장학금 사정은 어떤가요?
- 대부분의 학생들이 수업/연구 조교를 통해 전액/반액 장학금을 받습니다.
- 교수님들과 공동연구를 진행할 경우 RA연구비가 가능합니다.
- 해외/국내에서 학술발표할 경우 competition-based 보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